수능에서 아는 사람 도 극히 적고 응시자도 극히 적은 과목 

컨텐츠 정보

본문

수능 4교시는 '한국 사&탐구 영역 '임.


17471788781449.jpg


흔히 사회탐구, 과학탐구의 2개 영역 이 있다...라고 알고 있는 사람 들도 많지만, 하나의 과목이 더 있음. 바로 직업탐구.


사회탐구가 문과, 과학탐구가 이과를 위한 과목들이라면, 직업탐구는 바로 이 둘에 낄수 없는 특성화고 학생 들을 위한 영역 임.
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
그런데, 이 직업탐구 영역 의 응시자수는 정말 적은것 으로 유명함.


1747178878176.jpg


직업탐구 영역 의 경우 성공적인 직업생활+선택 1영역 을 보게 되는데, 이는 곧 직업탐구 영역 을 선택한 거의 모든 사람 을 다 합쳐봐도 3000명대 란 이야기가 됨.


이 중에서도 수산·해운산업 기초의 경우 2025학년 도 수능에서 응시자가 단 17명뿐이었음. 농업 기초기술 역 시 응시자가 같은해에 단 234명뿐이었는데, 아무래도 농고나 수산고의 경우 그 수가 매우 적기도 하고(수산고는 전국에 딱 9곳이 존재), 그마저도 농고나 수산고 졸업생들은 진학이 아니라 고등 학교  졸업 후 바로 일을 시작 하려는 케이스가 많기 때문인 것 도 큼.


그나마 상업 경제와 공업 일반의 경우 사정이 조금 낫지만, 이쪽도 응시자는 전국에서 1000명 남짓.



그럴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는데...


1. 애초에 특성화고 학생 이 전체 학생 의 20% 뿐.

2. 대 학교 에서도 특성화고 특별전형으로 지원하는게 아닌 이상 직업탐구영역  성적은 안  받아주는 경우가 많음. 즉, 특성화고 학생 이라도 특별전형 외의 타 전형으로 지원할 경우 직업탐구 영역 을 선택할 이유가 없다는 말.

3. 그마저도 특성화고 학생 들이 지원하는 대 학교 의 경우 전문대 나 하위권 대 학교 들이 많고, 이들은 특성화고 특별전형에 수능최저를 두지 않는 경우가 많음.

4. 그렇다보니 보는 사람 수가 적어져서 등급 따기가 힘듬. 특히 17명만이 응시한 수산·해운산업 기초는 만점자가 2명 이상 발생하지 않는 이상 1등급이 단 1명밖에 나오지 않는 구조임. 즉 까딱 실수하면 망하는 셈.


또한 6모, 9모 대 비 실제 수능까지 가는 인원수가 상당히 적은 편이라는것 도 직업탐구 영역 의 특징 인데, 이 역 시도 특성화고 학생 들의 경우 전체적으로 공부 의욕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아 수능에서는 떨어져나가는 경우가 많기 때문임.
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
풀어본 사람 들의 말에 따르면, 각 과목 관련 기초지식이 있다는 전제 하에 문제는 상당히 쉽게 나온다고 함. 아무래도 특성화고 학생 들의 학습 수준 을 고려한 것 으로 보임. 다만 어디까지나 각 과목 관련 기초지식이 있다는 것 이 전제로, 그런게 아니라면 어려울수 있다고 함.


또한 이렇게 수요가 적기 때문에 민간 출판 사들은 직업탐구 문제집은 만들지 않고 있음.


17471788782019.jpg


다만 역 시나 우리의 EBS는 공기업 이라서 그런지 직업탐구 영역 에서도 꿋꿋이 수능특강과 수능완성을 내놓고 있음. 


심지어 성공적인 직업생활은 물론이고, 공업 일반, 상업 경제, 심지어는 응시자가 수백명대 인 농업 기초기술까지도 종이책 이 나오고 있음.


다만 응시자수가 수십명대 로 떨어지는(...) 수산·해운산업 기초의 경우 제아무리 EBS라도 종이책 을 내놓을 깡은 안 됐는지PDF 파일로만 교재를 제공하고 있음.


--------------------------


17471788782259.jpg


+) 여담으로 작년  수능 수산·해운산업 기초에는 누가 봐도 흑백요리사를 모티브로 한듯 한 문제가 들어가있음. 저때까지만 해도 백종원의 이미지가 이렇게까지 추락할거라고 누가 상상이나 했을까...




관련자료

댓글 0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전체 360,431 / 9 페이지
RSS
번호
제목